iOS) MVVM + RxSwift, RxCocoa 적용

5 minute read

✅ RxSwift 는 mvvm 과 함께 쓰기로 유명한데 그 이유를 알아보자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코드 업데이트가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그래서 데이터 스트림과 변경 사항의 전파를 중심으로 하는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이유는 특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보다 로직에 조금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의 사용을 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가 ReactiveX 이고, Swift 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RxSwift 입니다.

그리고 RxSwift 는 mvvm 패턴에서 데이터 바인딩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소개됩니다.

mvvm 패턴에서는 view model 을 통해서 view 와 model 의 양방향 바인딩이 가능합니다. 이때 RxSwift 는 이 양방향 바인딩을 도와주는 operator 들이 있기 때문에 쉽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함께 사용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 RxCocoa 는 무엇인가요?

RxCococa 는 UI 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도구들의 모음인 Cocoa Framework 를 Rx 와 합친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즉, Rx 와 UI 관련 기능을 함께 래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RxCocoa 를 사용하여 UI 구성요소에 반응형 확장(Reactive Extensions) 기능을 추가하여 UI 이벤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타입이 스트림을 타면서 변경되는 상태를 반응형이라고 한다.)

확인해보면 아래처럼 UI 요소들을 확장한 코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 MVVM + RxSwift

구현해 볼 내용

  • view 에 액션 추가. 터치 시에 해당 색상 변경. 터치가 벗어나거나 손가락이 떨어지면 색상 복귀
  • 액션에 화면 전환 로직 추가
  • 테스트 코드 작성

MVVM

MVVM 의 단점은 정형화된 패턴이 없기 때문에 코드가 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input - ouput 을 적용한 MVVM 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MVVM 모델은 Model - View - View Model 입니다.

model 에서 가져온 view 를 업데이트할 데이터를 view model 에서 처리하게 함으로써 Controller 가 복잡해지는 것을 줄여줍니다.

  • Data Binding : View Model과 View 는 서로에게 데이터의 변경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Data Binding 입니다.
  • Model : data 를 담당.
    • Model 은 View 나 View Model 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구성
    • 앱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모습이나 제공방식과 관련이 없음
  • View : 화면.
    • 뷰 레이아웃 관련 코드가 있음
    • 이벤트 발생 시에 View 는 View Model 에게 알림. View 에서만 View Model 에 접근 가능. 뷰 모델 프로퍼티 소유.
    • input-oupt 을 적용하면서 transform 함수를 가짐
      • 뷰의 input stream 을 View Model 로 전달하고, 반환값으로 output stream 을 뷰에 binding
  • View Model : 뷰에 대한 모델.
    • View 의 모습이 어떤지 모름. 즉, View 와 View Model 간에 의존성이 없기 때문에 유닛 테스트를 하기에 좋음
    • transform 함수 : input stream 을 비즈니스 로직으로 처리한 후, Operator 로 가공하여 output stream 으로 반환
    • 뷰가 가지는 모델을 포함함(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와 상태 등)
    •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Model 프로퍼티 소유(Service 를 의미)
      • Model 의 역할이 비즈니스 로직까지이기 때문에 Entity + Service 로 보면되고 주로 역할에 따라 분리함
      • 서버 통신을 예시로 Repository 에서 서버에서 전달받은 jSON 자료형을 디코딩하여 Entity 로 변환
      • Service 역할은 Repository 에서 변환한 Entity 를 가공하는 비지니스 로직을 수행(예를 들어, Date 자료형의 dateFormat 을 변경하여 원하는 문자열로 가공. 이 문자열이 Model 에 들어감. 이 Model 객체를 View Model 에서 소유)

(아래 곰튀김님의 영상을 참고해서 MVVM 에 대한 내용을 추가로 작성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58LqynqQHc&t=1283s

input-ouput

출처 - https://velog.io/@dawn_dancer/iOS-Rx-MVVM의-올바른-사용법-saebyuckchoom

  • 뷰로 부터 input 이 들어와서 뷰 모델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통해 output 으로 전달되는 흐름이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 뷰에서 출발한 스트림이 끊어지지 않고 변하면서 값이 전달되는 이러한 특성은 Rx 에서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나타내기에 적절합니다.
  • subscribe 은 스트림의 종착점인 ViewController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중간에 subscribe 을 통해서 스트림을 가공하는 형태가 아닌 Operator를 통해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사이드 이펙트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class MovieDetailViewModel {

    //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객체(API Call)
    private let movieSearchService: MovieSearchService 

    init(movieSearchService: MovieSearchService) {
        self.movieSearchService = movieSearchService
    }

    struct Input { // View에서 발생할 Input 이벤트(Stream)들
        let trigger: Observable<Void> // viewWillAppear와 같은 trigger event
    }
    struct Output { // View에 반영시킬 Output Stream들
        let resultTitleText: Observable<String> // UILabel 등에 바인딩할 데이터 Stream
    }

// ✅ 추가적으로 프로토콜로 Input, Ouput 을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의존성 역전 원칙(DIP)도 적용 가능합니다.

    func transform(input: Input) -> Output { // 뷰의 Input을 받아 Output으로 변형하는 메서드
        let resultTritleText = input.trigger
            .flatMap { _ in
                self.movieSearchService.fetchMovieDetail()
            }
            .map { $0.title }

        return Output(resultTitleText: resultTitleText)
    }
}

// 출처: https://velog.io/@dawn_dancer/iOS-Rx-MVVM의-올바른-사용법-saebyuckchoom

input-output 구조가 반복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ViewModelType 프로토콜을 만들어주는 방법도 있다.

protocol ViewModelType {
    associatedtype Input
    associatedtype Output
    
    func transform(input: Input) -> Output
 }

bind

bind(to:) 를 통해서 subscribe 수행할 수 있습니다.

bind(to:) 의 정의를 확인해보면 내부 동작에서 subcribe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port RxSwift

extension ObservableType {
    /**
     Creates new subscription and sends elements to observer(s).
     In this form, it's equivalent to the `subscribe` method, but it better conveys intent, and enables
     writing more consistent binding code.
     - parameter observers: Observers to receives events.
     - returns: Disposable object that can be used to unsubscribe the observers.
     */
    public func bind<Observer: ObserverType>(to observers: Observer...) -> Disposable where Observer.Element == Element {
        self.subscribe { event in
            observers.forEach { $0.on(event) }
        }
    }

bind 와 이벤트를 핸들링하는 클로저에서 약한 참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bind 를 사용하면서 아래의 operator 는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observeOn(MainScheduler.instance)
.bind(onNext: { [weak self] data in
    guard let self = self else { return }
    self.task1(data)
    self.task2(data)
})
.disposed(by: disposeBag)

// withUnretained 는 share(replay:1)과 같이 사용할 때 retain cycle 이 발생할 수 있다.
// 그래서 Driver 와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함.
.withUnretained(self)
.bind(onNext: { owner, data in
    owner.task1(data)
    owner.task2(data)
})
.disposed(by: disposeBag)

// bind(with:onNext:)를 사용하면 약한 참조의 인스턴스를 전달할 수 있다.
.bind(with: self, onNext: { owner, data in
    owner.task1(data)
    owner.task2(data)
})
.disposed(by: disposeBag)

// self? 을 사용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캡처 리스트를 생성하고 진행.
// bind(with:onNext:) 코드를 살펴보면 guard let 으로 강한 참조하여 전달하고 있음.
.bind(onNext: { [weak self] data in
    self?.task1(data)
    self?.task2(data)
})
.disposed(by: disposeBag)

bind 와 drive 의 차이

  • bind 와 drive 모두 main thread 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UI 작업을 하기에 적절합니다.
  • drive 는 Observable 에서 asDriver() 메소드를 통해 변환된 Driver 타입의 핸들링을 합니다.
    • Driver 는 RxCocoa 가 제공하는 UI 처리에 특화된 Observable 인 Traits 의 하나입니다.
  • bind 는 Observer 가 추가될때마다 새로운 스트림이 실행됩니다. 반면, drive 는 스트림을 공유합니다. 그래서 하나의 스트림을 여러 곳에서 관찰하는 경우에 bind 보다 메모리의 이점이 존재합니다.
  • bind 코드를 살펴보면 onError 가 없습니다. (Driver 는 error 를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bind 와 달리 애초에 없습니다.)
  • 또한, drive 는 onCompleted, onDisposed 파라미터가 있기 때문에 사이드 이펙트를 처리하기에 용이합니다.

느낀점

공부를 하면서 더욱 느끼는 것이지만 패턴에는 표준이라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개발자마다 패턴이 조금씩 달랐다. 조바심을 내지 않고 최대한 많은 부분들을 눈에 담는 것도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이 들었다.

출처 :

[iOS] RxSwift를 이용한 Login 기능 구현

Getting Started With RxSwift and RxCocoa

[Rx] TIL - Rx 개념 재복습 및 총정리

RxSwift #4 — RxSwift 를 이용한 MVVM 패턴

https://linux-studying.tistory.com/28

https://velog.io/@dawn_dancer/iOS-Rx-MVVM의-올바른-사용법-saebyuckchoom

https://duwjdtn11.tistory.com/628

https://jinsangjin.tistory.com/126

Categories:

Updated: